구병(구명)시식
1. 구병(구명)시식 의의
사람의 몸에 귀신이 붙은 경우 이것을 떼어내거나 쫓아내게 하는 것으로
귀신병(빙의)을 치료한다는 의미로 구병시식(求病施食)이라 하고
또 생명을 구한다는 의미에서 구명시식(求命施食)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병자의 몸에 들어와있는 귀신을 강제로 쫓아내는 것이 아니고
먹을만한 음식 한상을 잘 차려준다는 의미로 시식(施食)이라고 하며
귀신을 불러내어 염불로 법문도 들려주고
잘 대접을 한 다음 말수레에 태워 저세상으로 보내는 의식이다.
그래서 구병시식의 제상(祭床)에는 말이 먹을 여물도 따로 차려놓으며
의식방법은 집전하는 전문가(법주스님)에 따라 약간 다르는 경우가 있고
지역에 따라 의식방법이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지만
귀신병을 치료한다는 목적은 같다.
가. 귀신병에 걸린 사람의 진단방법(귀신병에 걸린 사람의 증상)
①귀신병에 걸리면 어디 아픈곳은 분명이 있으나 병원에 가서 그곳의 진찰을 받아보면
정상으로 나오는 경우
② 환각이나 환청으로 고통을 받거나 악몽을 자주꾸는 경우
③ 시선을 한곳으로 집중해서 잘 보지못하는 경우
④ 아무리 먹어도 살이 찌지않고 이유없이 여위어 가는 경우
나. 귀신병이 걸리기 쉬운 사람(귀신이 들어오기 좋은 때나 좋아하는 사람)
① 겁이 많거나 심약한 사람
② 컨디션이 안좋은 상태에서 술에 만취하여 골아떨어져 잠자는 경우
③ 병으로 쇠약해진 상태에서 좌절하는 마음으로 깊은 수면에 들어간 때
④ 몸의 컨디션이 좋지않은 상태에서 상가집이나 문상 또는 시체와 가까이하는 경우
이렇게 저세상으로 가지않은 영혼(귀신)이 사람의 몸에 들어가는 경로는
살아있을 때 만만한 상대의 일가나 친척에 들어가는 경우도 많지만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들어가기도 한다.
그리고 귀신이 한번 살아있는 사람의 몸에 들어가면 그곳이 자기 집인 것처럼
잘 나가지 않으려 하고 몸의 한곳에 머물고 있는 경우도 있고 몸의 이곳
저곳으로 옮겨 다니는 귀신도 있다.
이런 사연이 있으므로 남의 몸에 들어와 안주하고 있는 귀신을 쫓아내는 것은
간단하고 쉬운일이 아니므로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며
귀신에 따라 집착이 강한 귀신, 자살한 귀신, 자기도 모르게 사고로 갑자기 죽은 귀신,
젊은 나이에 결혼도 한번 해 보지못하고 죽은 귀신은 한두번만에 나가지않으므로
여러번의 구병시식을 해야 떨어져 나간다.
귀신병의 치료하다가 본인이 도리어 귀신병에 걸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되도록 일반스님도 이런일은 사양하고 전문가도 조심을 하며
보시금(수고비)도 천도재에 비하여 많이 받는다.
2. 구병시식의 의식내용
구병시식은 먼저 천도재를 지낸후 따로 구병시식에 대한 의식을 하며
의식내용은 관음시식과 비슷한 부분도 있으나 맨아래의 사진과 같이
나무대성초면귀왕비증보살마하살(南無大聖焦面鬼王悲增菩薩摩訶薩)의 위목을 적은
구병시식번을 제상뒤에 붙여놓고 귀신병에 걸린 사람을 복위(伏位)로 하여 몸에 붙은
환자책주귀신영가(嘖主鬼神靈駕)를 불러내어 염불로써 위로하고 7가지의 음식을 49개의
접시에 담아 접대하면서 법문을 들려주고 관세음보살과 귀신을 다스리고 물리치는
여러신장의 신통력으로 귀신을 물리치게 하며
마지막으로 모든 불(양초 및 전등)을 끄고 환자에게 팥을 뿌리면서 해백생원가다라니
(解百生寃家陀羅尼) [옴 아아암 악] 108번으로 마무리 한다.
3. 구병시식 비용
구병시식은 귀신병을 치료하는 것으로
환자에 몸에 붙은 귀신을 쫓아보내는 의식으로
먼저 몸에 붙은 귀신을 불러내어 천도재로 관욕(목욕)을 한 다음
저 세상으로 가도록 권유하고 마지막으로 구병시식으로 말에 태워 보낸다.
그러므로 구병시식은 천도재와 구병시식의 2가지 의식을 하는 것이므로
천도재의 비용과 같이 꼭 정해진 금액은 따로 없으며
다만 천도재의 비용에 추가로 구병시식의 비용이 계산됨으로
기본적으로 300만원은 소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