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9재 및 기타 안내 ♣/반혼재(반혼제)

반혼재(反魂齋)-반혼제(反魂祭)

무진스님 2014. 8. 21. 21:40

   

 

                            반혼재(反魂齋) 반혼제(反魂祭)

 

 

1. 반혼재(반혼제)란 무엇인가 ?

사람이 죽으면 육체는 없어지지만 그 혼(영혼)은 없어지지않고 돌아온다는

뜻으로 반혼(反魂)이라고 하며

돌아오는 장소는 고향이 될 수도 있고 생전에 살든 집이 될 수도 있으며

재를 지내는 사찰의 법당 영가단이 될 수도 있다.

 

사찰에서는 베푼다는 의미가 담긴 반혼재(反魂齋)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가정에서는 제사를 지낸는 의미가 담긴 반혼제(返魂祭)라고 하는데

죽은 혼이 돌아온다는 것에는 같은 뜻으로 사용한다.

 

사찰에서 행하는 반혼재는 육체(몸)를 떠난 영혼이 돌아와 부처님 법당의

영가단에 편안히 앉아서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깨달음을 얻어 극락세게로

가기 위하여 잠깐 목을 축이는 의식이다

 

2.반혼재(반혼제) 의식 내용

삼귀의(三歸依)

귀의불 양족존 !

귀의법 이욕존 !

귀의승 중중존 !

※ 법성게의 소리에 맞추어 혼백을 든 상주와 참석자 대중은 법당을  3바퀴 돈 다음

혼백을 위패속에 넣어 영단에 안치(안좌) 한다.
 

착어(着語)

거 사바세계 남섬부주 ~ 주소 산하 사(사찰이름) 청정수월도량 !

원아금차 지극지정성 반혼발원 천혼재자 ~주소 ~복위 신원적 ~ 영가 !

생연이진  대명아천  기작황천지객  불사지신여몽  이위추천지혼백 방불형용 의희면목

 

 ◎召請孤魂(소청고혼) - 시간관계상 생략 가능

 

香煙請

[향연청](세번)

 

歌 詠(가 영)

제령한진치신망 석화광음몽일장 삼혼묘묘귀하처 칠백망망거원향 !

 

수위안좌(受位安座)

상래소청 제불자 ~영가 !

상래승불섭수 장법가지 기무수계이임연 원획소요이취좌

하유안좌지게 대중수언후화 !

아금의교설화연 다과진수열좌전 유원불자차제좌 전심제청연금언

[옴 마니 군다니 후훔 사바하]

백초임중일미신 조주상권기천인 팽장석정강심수

원사망령헐고륜 !

원사고혼헐고륜 !

원사제령헐고륜 !

 

헌성례(獻誠禮)

상래소청 제불자 ~영가 !

향설오분 지진향 훈발대지 

등연반야 지명등 조파혼구

다헌조주 지청다 돈식갈정 

과헝선도 지진품 상조일미

식진향적 지진수 영절기허 

어차물물  종종진수 나열영전 복유상향

 

시식게(施食偈)

원차가지식 보변만시방 식자제기갈 득생안양국

시귀식진언 [옴 미기미기 야야미기 사하하]

시무차법식진어 [옴 목련능 사바하]

보공양진언 [옴 아아나 삼바바 바아라 훔]

보회향진언 [옴 삼마라 삼마라 미만나 사라마하 자거라 바라 훔]

수아차법식 하이아 난찬 기장함포만 업화돈청량

돈사탐진치 상귀불법승 영염보리심 처어안락국 !

(사정에 따라 이어서 반야심경등을 추가 할 수 있음)

 

사홍서원(四弘誓願)

중생무변서원도 !

번뇌무진서원단 !

법문무량서원학  불도무상서원성 !

 

3. 반혼재(반혼제) 의식 해설

삼귀의(三歸依) : 3가지 귀하는 곳

歸依佛 兩足尊 !

귀의불 양족존(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歸依法 離欲尊 !

귀의법 이욕존(부처님의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歸依僧 衆中尊 !

귀의승 중중존(스님과 승가에 귀의합니다)

 

착어(着語) : 앉기를 권유하는 말씀

 

據娑婆世界 南贍浮洲 ~~ 住所 山下 ~寺 淸淨水月道場

거사바세계 남섬부주 ~~ 주소 산하 ~사 청정수월도량 !

 

願我今此 至極至精誠 返魂發願 薦魂齋者 ~住所 ~伏爲 新圓寂~ 靈駕 !

원아금차 지극지정성 반혼발원 천혼재자 ~주소 ~복위 신원적~ 영가 !

 

 生緣已盡 大命俄遷 旣作黃泉之客 不思之身如몽

생연이진 대명아천 기작황천지객 불사지신여몽


已爲追薦之魂 彷彿形容 依希面目

이위추천지혼 방불형용 의희면목

 

사바세계(고통이 따르는 세상) 남섬부주(불교에서 말하는 이 세계)

~ 주소의 ~산밑에 있는 ~ 사찰에서

지금 지극한 정성으로 혼이 돌아와 천도되기 바라는 ~ 거주의 ~재자의

~ 영가시여 !

이젠 산 인연이 다하여 황천객이 되었으니

꿈같은 몸뚱이는 버리시고(생각하지 마시고)

이 자리에 혼령을 모셔 편안히 쉬게 하옵나니

망자 자신의 모습이 불분명 하더라도 본래면목(본래의 참다운성품)에

의지하옵소서 !

 

香煙請[향연청](3회)

삼가 향을 사르며 청합니다(세번)


諸靈限盡致身亡 石火光陰夢一場

제령한진치신망 석화광음몽일장
三魂杳杳歸何處 七魄茫茫去遠鄕

삼혼묘묘귀하처 칠백망망거원향

 

이제 목숨다하여 몸뚱이는 죽음에 이르러니

번개같은 빠른세월 한바탕 꿈이로세

삼혼은 아득히 어디로 갔으며

칠백은 망망히 먼 곳으로 떠낫도다.

 

수위안좌(受位安座) : 영가를 자리에 앉기를 권함

 

上來所請 諸佛者 新圓寂 ~靈駕 !

상래소청 제불자 신원적~영가 !

上來承佛攝受 仗法加持 旣無囚繫以臨莚

상래승불섭수 장법가지 기무수계이임연

願獲消遙而就座 下有安坐之偈 大衆隨言後和 !

원획소요이취좌 하유안좌지게 대중수언후화 !

 

위에서 부른 방금 돌아가신 ~ 영가시여 !

자비하신 부처님의 보살핌의 부름을 받고 불법에 의지하여

이미 갖히고 얽히고 매임이 없어졌으므로 이젠

이 자리에 앉도록 대중들이 합창으로 부르며 권합니다 !


我今依敎設華筵 茶果珍垂列座前

아금의교설화연 다과진수열좌전
惟願佛子次第座 專心諦聽演金言

유원불자차제좌 전심제청연금언

 

이제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의지하기 위하여

차와 과일과 온갖 음식을 진열한 장엄한 자리를 마련하였으니

바라옵건대 불자들이여 차례대로 자리에 앉으시어

지극한 마음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자세히 들어소서 !

 

受位安座眞言(수위안좌진언) : 자리에 앉기를 권하는 참다운 말씀

옴 마니 군다리 훔훔사바하 (세번)

 

 

◎茶偈(다게)


百草林中一味新 趙州常勸幾千人  烹將石鼎江心水

백초임붕일미신 조주상권기천인  팽장석정강심수

願使亡靈歇苦輪  願使孤靈歇苦輪  願使諸靈歇苦輪

원사망령헐고륜  원사고령헐고륜  원사제령헐고륜

 

백가지 풀가운데 한가지의 맛이 새롭구나

조수선사께서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차를 권했겠는가

돌솥에 흐르는강물의 물을 정성껏 달여 차를 올리오니

원하옵건데 돌아가신 영가시여 고통의 수레에서 벗어나소서 !

원하옵건데 고혼이시여 고통의 수레에서 벗어나소서 !

원하옵건데 모든 영가시여 고통의 수레에서 벗어나소서 !


 

受饗篇(수향편)

 

上來召請諸佛子 ~ 靈駕

상래소청제불자 신원적 ~ 영가
香爇五分之眞香 薫發大智

향설오분지진향 훈발대지

燈然般若之明燈 照破昏衢

등연반야지명등 조파혼구

茶獻趙州之淸茶 頓息渴情

다헌조주지청다 돈식갈정

果獻仙都之眞品 常助一味

과헌선도지진품 상조일미
食進香積之珍羞 永絶飢虛

식진향적지진수 영절기허

於此物物 種種珍羞 羅列靈前 伏惟尙饗

어차물물  종종진수 나열영전 복유상향

 

위에서 부른 방금 돌아가신 ~ 영가시여

향은 다섯가지(계, 정, 혜, 해달, 해달지견)의 참된 향을 피우니

큰지혜로 밝은 빛을 받으시고

등불은 지혜의 밝은 등불을 밝혔으니

어두움과 두려움에서 벗어나시고

조주선사의 맑은 차를 올리오니

갈증에서 목을 추기시고

신선한 과일을 올리오니

일미의 맛을 돋구시고

향기롭고 맛있는 음식을 올리오니

배고픔과 굶주림에서 영원토록 벗어나도록

이 여러가지 음식들을 영가전에 나열하오니

엎드려 바로옵건대 흠향하시고 드시옵소서 !

 

施食偈(시식게) : 음식을 베푸는 게송

 

願此加持食 普遍滿十方 食者除飢渴 得生安養國

원차가지식 보편만시방 식자제기갈 득생안양국(세번)

 

원하옵건데 시방의 온세계에 미치도록 진언으로 권하노니

이 음식이 먹는 사람은 굶주림과 목마름에서 벗어나고

서방정토 극락세계에 태어나소서 !

 

施鬼食眞言(시귀식진언 : 귀신에게 음식을 베푸는 참된 말)
[옴 미기 미기 야야미기 사바하] (세번)

 

施無遮法食眞言(시무차법식진언 : 평등한 진리의 법문같은 음식을 베푸는 참된 말)
[옴 목력능 사바하] (세번)

 

普供養眞言(보공양진언 : 널리 공양하게 하는 참된 말)
[옴 아아나 삼바바 바아라 훔] (세번)

 

普回向眞言(보회향진언 :널리 공덕을 되돌리는 참된 말)
[옴 삼마라 삼마라 미마나 사라마 자가라 바라훔] (세번)

 

受我此法食 何異阿難饌  飢腸咸飽滿 業火頓淸凉

수아차법식 하이아란찬  기장함포만 업화돈청량
頓捨貪嗔癡 常歸佛法僧  念念菩提心 處處安樂國

돈사탐진치 상귀불법승  념념보리심 처처안락국

 

저희들이 받은 이 음식들은 진리의 법문을 듣는 것과 같이

부처님께서 아난존자에게 설해던 것과 어찌 다르겠는가

굶주린 장자에 음식으로 가득 채우는 것과 같이

업장의 불길을 사라지고 욕심과 성냄과 어리석음에서 벗어나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 그리고 스님들께 귀의하여

깨달음을 얻어 극락정토에 이러도다 !

 

사홍서원(四弘誓願) : 4가지의 큰 바램

衆生無邊誓願度

중생무변서원도 !

煩惱無盡誓願斷

번뇌무진서원단 !

法門無量誓願學  佛道無上誓願成
법문무량서원학  불도무상서원성 !

 

고통에서 헤메는 모든 중생들을 제도하겠습니다.

끝없는 번뇌와 갈등에서 벗어 나겠습니다.

끝없이 법문을 배우고 부처님같은 도(道)를 이루겠습니다.

 

4.반혼재(반혼제) 소요시간

20~3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상주가 많을 경우 시간을 늘릴 수 있음)

 

5. 반혼재(반혼제)의 비용

반혼재(반혼제)에는 삼색과일(사과. 배. 감등)과

밥 한그릇과 물만 준비하면 되므로 20만원정도의 비용이 소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