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안내 ♣/♣ 천기 누설 ♣ 39

이사방향(이사방위) 1 - 대장군방(대장군방위. 대장군방향)

이사방향(이사방위) 1 - 대장군방(대장군방위. 대장군방향) 1. 대장군방(대장군방위. 대장군방향)이란 무엇인가 대장군방(大將軍方)이란 이사에게 가장 꺼리는 방위로써 대장군방위로 이사를 하거나 땅을 다루거나 물건을 놓으면 가정에 우환이 생기고 재물의 손해가 발생하며 사람이 다치고 병이 들고 심하면 생명의 위험까지 일어난다. 또 사업가는 재수가 없어지고 나쁜일이 많이 일어나는 불길한 방위이다. 2. 대장군방(대장군방위. 대장군방향)에 해당되는 경우 대장군방은 3년간 머물다 바뀌는 이사방향(이사방위)로써​ 사년(巳年:뱀띠해)에는 묘방(卯方:동쪽)에 대장군방(대장군방위. 대장군방향)이 들고 오년(午年:말띠해)에는 묘방(卯方:동쪽)에 대장군방(대장군방위. 대장군방향)이 들고 미년(未年:양띠해)에는 묘방(卯方:동..

이사방향(이사방위) 5 - 안손방(안손방향,안손방위)

이사방향(이사방위) 5 - 안손방(안손방향,안손방위) 1. 안손방(안손방향, 안손방위)이란 무엇인가 안손(眼損方)이란 눈에 손해(피해)가 생긴다는 뜻으로 이 안손방(안손방향,안손방위)로 이사를 하면 가내가 기울고 가정이 평탄치 못하며 특히 눈병등의 질병이 생기고 손재수 (재산의 손실이 있게 되는 운)가 따르고 근심과 액운이 따르는 흉한 이사탈방향(방위)이다. 2. 안손방(안손방향, 안손방위)에 해당되는 경우(사람) 가. 아래의 남자 나이(만으로 계산한 나이가 아님)에 이사를 가면 1.10.19.28.37.46.55.64.73.82.91에 남동쪽으로 가면 안손방(안손방향,안손방위)의 이사방향(이사방위)이 되고 2.11.20.29.38.47.56.65.74.83.92에 동쪽으로 가면 안손방(안손방향,안손방위..

2016년 이사방향(이사방위) - 2016년 대장군방향(삼살방향,상문방향,조객방향)

이사액난방지부 2016년 이사방향(이사방위) - 2016년 대장군방향(삼살방향,상문방향,조객방향) 1. 2016년 이사방향(이사방위) : 2016년도 丙申年에 이사가면 안되는 방향은 아래와 같다. (현재 살고있는 집에서 이사를 가는 집에 대한 방향임) 대장군방향 : 남쪽 삼살방향 : 남쪽 상문방향 : 북서..

삼재,삼재소멸,삼재방지,삼재계산법,삼재예방,복삼재,악삼재

삼재,삼재소멸,삼재방지,삼재계산법,삼재예방,복삼재,악삼재 1. 삼재란 무엇인가 삼재(三災)란 3가지의 재앙(災殃)을 말하는 것으로 물로 인한 수재(水災) 불로 인한 화재(火災) 바람으로 인한 풍재(風災)의 3가지 재앙으로 우환질병과 관재구설액난등 재앙을 받는다는 뜻이다. 수재는 물..

저주술(저주술법,주술법)이란 무엇인가 : 저주방법(저주하는 방법)

저주술(저주술법,주술법)이란 무엇인가 : 저주방법(저주하는 방법) 1. 저주술(저주술법)이란 무엇인가 저주술(咀呪術)이란 죽이고 싶을 정도로 미워하고 싫어하며 증오하는 상대방에게 비밀의 술법으로 그 사람이 하는 일은 뜻대로 되지 않고 재앙이 닥쳐 불행의 구렁텅이에 빠지도록 하는 것을 저주술이라하고 그 저주술을 실행하는 방법을 저주술법(咀呪術法)이라 하며 이런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을 술사 또는 주술사라고 한다. 저주술은 사람이 모이고 사회가 발달하면서 사람과 사람사이에 언제부터인지 알 수없는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온 술법으로 어떤 상대방이 잘못되어야 본인에게 행복이 찾아오게 되는 어쩔수 없는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생겨난 것이다. 2. 저주술(저주술법)을 하는 방법 저주받는 사람을 대상으로 인물 모양의 인형..

신주단지란 무엇인가(신주단지의 처리방법) 신주단지 없애는 법(신주단지 처리비용)

신주단지란(신주단지의 처리방법), 신주단지 없애는 법(신주단지 처리비용) 1. 신주단지란 무엇인가 신주(神主)단지란 신(神)이 살고있는 집처럼 몹시 귀중하고 조심스럽고 정성스럽게 다루거나 소중하게 간직하는 항아리라는 뜻으로 토속신앙 또는 무속신앙에서 비롯된 것으로 지역에 따라 다른말로 성주(聖主)단지 또는 세존(世尊)단지 조상(祖上)단지 라고도 한다. 주로 무속인이 고객에게 신주단지를 모시면 좋다고 권유하여 집안에 모시고 있으나 요즘의 젊은 세대에서는 점점 사라지고 있는 문화이다. (사찰에서는 절대로 신주단지를 모시지않으며 스님이 신주단지를 모시도록 권유하는 일은 절대없음) 2. 신주단지의 크기와 재질 신주단지의 크기는 특별히 정해진 것이 아니며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고 신주단지를 내리는 사람(만들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