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안내 ♣/오늘 이야기 51

거짓말

=거짓말...= ​ 증자(曾子)의 아내가 시장에 가려는데 아이가 울면서 따라 왔다 아내는 아이를 달래기 위해 이렇게 말했다 ​ "금방 엄마가 돌아 와서 돼지고기 반찬을 해줄게!" 아내가 시장에서 돌아오자 증자는 돼지를 잡으려고 우리를열고 들어 갔다 ​ 아내는 깜짝놀라 이를 말리며 물었다 "급한김에 우는아이를 달래려고 한 말인데 정말 돼지를 잡으면 어떡해요?" 증자는 화를 냈다 ​ "애들에게 어떻게 거짓말을 할수있소? 애들은 부모를 따라 배우고 부모의 가르침대로 자라나오 지금 당신이 아이를 속이면 아이는 어머니를믿지 못하게 되오. 그뿐만 아니라 부모가 한 말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것이요 나는 우리 아이갸 거짓말이 당연 하다고 생각하며 살아가게 하고 싶지 않소!" 증자는 끝내 돼지를 잡아 삶아서 온 가족과..

비둘기의 발

=비둘기의 발= 한 소년은 비둘기의 발만 반복해서 그렸습니다 엄청난 양의 비둘기 발 그림을 그리곤 휴지통속에 버리기를 반복했습니다 사람들은 의아하게 생각했습니다 왜 다양한 사물을 그리지 않았을까 "우리 아버지가 비둘기 발만 계속 그리리고 하셨어요," 소년은 천진난만 하게 대답 했습니ㅏ 그리고 세월이 지나 소년이 열다섯살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비둘기 발만 열심히 그렸던 소년은 놀랍게도 사람의 얼굴.몸체의 세부적인 특징도 잡아내기 시작 했습니다 이소년은 훗날 추상화의 대가 '피카소'입니다 지금은 사소해 보이는일이 겹겹이 모여서 큰 그림을 이루게 된다 -중요하지 않은 작업은 없다- [출처] 비둘기의 발 (나의사찰 무진암) | 작성자 운수대부 http://www.bujeok.or.kr/mart7/ http://m..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말라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말라.. 미국의 명문 스탠포드 대학은 어떻게 건립 되었을까? 돈많은 재벌부부가 살고 있었다 이들에게 자식이 없어 긴여생을 조금은 쓸쓸하게 보냈다 그래서 노부부는 그많은 재산을 유익한일에 쓰고 싶었다 "우리 전재산을 교육 사업에 헌납 하기로 해요." 다음날 부부는 미국의 명문 하버드대 대학을 방문 하였다 정문을 막들어 서려는데 허름한 옷차림의 두노인을 본 수위가 그들을 불러 세웠다 그리고 불친절 하게 따지듯이 물었다 "노인 양반들 지금 어디로 가려고 하는거요?" "총장님을 좀 뵈러 왔는데요." 수위는 아주 경멸 하는 태도로 괄시하며 답했다 "총장님께서는 댁들을 만날 시간이 없소!" 노부부는 수위의 태도에 불쾌 했지만 마지막으로 한마디 더물었다 "대학교 설립 하려면 돈이 얼마나 듭니..

♣-시간외 활용-♣

♣-시간외 활용-♣ 짧은 시간을 활용 해야 한다 잠시 잠시 주어지는 틈을 알뜰하게 이용 해야 한다 그것이 가장 많은 시간을 얻어 내는 비결이다 짧은 시간은 그 자체로서는 별 호응이 없지만 꾸준히 활용 하기만 하면 엄청난 일을 이루어 낼수가 있다 티끌이 모여서 태산을 이루듯 잠시 잠시 주어지는 자투리 시간이 상상을 초월한만한 결과를 빚어 낸디 시간이 주어지는것과 시간을 활용 하는것과는 분명히 다르디 시간이 주어지는것은 어느 누구에게니 공통적이지만 그시간을 활용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일이다 같은 시간속에서 사는데에도 어떤이는 큰일을 이루어 내고 어떤이는(시간)타령만 하며 허송세월을 하는데 그것은 주어진 시간을 얼마나 자신의 것으로 만들엇는가의 차이에서 비롯 된다 짧은시간이라 하여 잡담..

엎지런진물

♥=엎지러진 물... 중국 춘추시대 제(齊)라는 나라가 있었다 기원전 1123년에 창건된 이나라는 지금의 산동성 일원을 영토로 하고 있었다 나라를 처음 일으킨 사람은 강상이며 후세 사람들은 그를 강태공이라 불렀다 강태공이 젊었을때의 일이다 그는 낮이나 밤이나 책만 읽는 무능하기짝이 없는 남편이었다 그로서는 때가 오기를 기다리는것이었으나 그깊은 속마음을 헤아리지못한 아내는 남편을 버리고 친정으로 돌아가 버렸다 얼마뒤 주나라 무왕을 도와 은나라를 멸한 강태공이 제나라 왕이 되자 친정으로 갔던 아내는 돌아와 다시 부부가 될것을 원했다 그러나 강태공은 마당에 물을 쏟고 아내더러 그물을 다시 그릇에 담으라고 했다 아내가 물을 담지 못하자 "엎질러진물은 다시 그물에 담지 못하는법"이라고 말했다 "복수불반분"이라는 ..

혼자 외로우십니까

▣=혼자 외로우십니까? 가슴 가득 사랑을 받고 십습니까? 그가 겨울정도로 사랑 하십시요 ​ 위로를 받고 십습니까? 가슴 한가득 위로자가 되십시요 ​ 좋은날이 되고 싶습니까? 온세상이 나를 위하여 있다고 생각하십시요 ​ 행복하길 원하십니까? 온세상을 찬란 시간으로 엮어 내십시요 ​ 따스한 사람이 되고 싶습니까? 온가슴 가득 해처럼 사십시요 ​ 성공자가 되고 싶습니까? 길에 밝히는 것이 모두 생산꺼리로 보십시요 ​ 최후의 주인공이 되고 싶습니까? 그어떤 어처구니도 포기 하지 마십시요 ​ 오늘 대화를 하고 싶습니까? 자기속의 자기와 별을 헤며 토론하십시요 ​ 한잎 나뭇잎이 대화를하자고 하십니까? 못 이기는척하고 귀기울여 보십시요 ​ 혼자 외로우십니까? 우주가 달려들어 친구 되려 한다는 사실! 잊지 마십시요 ~..

왜 사는가

=왜 사는가?...= 누구나 살아 가는동안 얻은것은 언제가는 다 놓아야만 합니다 놓는다는것은 버틴다는 것입니다 문제는'어떤 목적을 위해서 버리느냐" 입니다 목적이 중요 합니다 버리는공부를 제대로 하기위해서 자신에게 항상 던져야 할 질문이 있습니다 "왜 사느냐"는것입니다 자기 자신에게 "왜 사는가?" 계속 묻다보면 나름대로 답이 나옵니다 그 답을 통해서 자신을 알수 있습니다 나는 어떠한 기운을 가지고 살고 있는가 지금당장 생각해서 하는 대답은 거짓입니다 1년후, 10년후에도 변하지 않을답이라야 진짜입니다 머리로만 생각해서 나온답은 달라 질수 있습니다 오직 본성에서 나오는 답만이 변하지 않습니다 왜 사는가? 스스로에게 평생 던져야 할 질문입니다 늘 "왜 사는가?" 질문을 던지면서 살아 가면 무엇을 버려서 무..

행복한 사람입니다

​ ◐ -행복한 사람입니다,,,-◑ 생활이 굴핍하다 할지라도 사람났고 돈났지 돈나고 사람 났느냐고 여유 있는 표정을 짖는 사람은 ◐ 행복한 사람 입니다. 누가 나에게 섭섭하게 해도 그동안 나에게 베풀어 주었던 고마움을 생각 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밥을 먹다가 돌이 씹혀도 돌보다는 밥이 많다며 껄.껄.껄. 웃을수 있는 사람 이라면 행복한 사람 입니다. 밥이 타거나 질어 아내가 미안해 할때 누릉지도 먹고 죽도 먹는데 무슨 상관 이냐며 대범하게 말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 입니다. 나의 행동이 다른 이에게 누를 끼치지 않는 가를 미리 생각하며 행동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 입니다. 자신의 직위가 낮아도 인격까지 낮은것은 아니므로 기 죽지 않고 당당하게 처신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 입니다. 비가 오면 만물..

고도리속에 행운이,,,

♥~고도리속에 행운이,,, =♠행운을 준다는고도리속으로.. 고도리는 3장의 화투속에 새가 5마리 있다하여 일본어가 우리말로 넘어 오면서 생겼다고 하는데 아직도 우리 생활속에서는 일본의 흔적들이 남아 있는듯 하여 조금은 씁쓸 하네요,-_- 같은 종류의 3장이 모여지면 쌋다라고 하며 마침 똥밟은 기분처럼 더럽게 기분 나쁘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 되는데 사실을 알고보면 탑처럼 쌓았다라는 좋은뜻에서 나왔다고하니 앞으로 3장이 모이면 "앗싸~쌓았네 "라고 긍정적인 말을 뱉어 보는것이 더 괜찬겠죠 내가 쌓아놓은 그 3장을 상대가 가져 간다면 내가 쌓은공을 배푸는것이고 또 내가 그 3장을 가져 간다며 그것 또한 기분 좋으니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고 이거야 말로 멋진 게임이 아닐까요 절대로 말라고 하는것이 당부하는것..

▦=눈이 먼저 웃게 하라

우리가 사람을 쳐다볼때 가장 먼저 눈을 쳐다보게된다 단지 쳐다보는모습이 많이 보게 돤다 적게 쳐다보는가 바로 쳐다 보는가 곁눈질로 쳐다보는가에 따라 다를뿐이다 과연 우리는 어떤 모습으로 사람을 쳐다보는가? 중요 한것은 처음 눈을 볼때 첫인상 머리속에 각인이 되어 오래도록 가슴에 남게 된다 눈의모습을 본후의 행동에 따라 다음의 어떤 모습으로 대할까?어떤 행동을 취할까?를 결정 하게 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좋은 이미지를 볼수가 있을까? 바로 눈이 먼저 웃을수 있도록 노력 하라 어떻게 하면 눈이 먼저 웃을수 있을까? ㉮ 상대방에게 오기심이 가득해야 한다 ㉯ 상대방을 존경 하는 듯한 모습으로 대하라 ㉰ 긍정적인 마음을 기지고 쳐다보라 이러한 마음 자세가 되어 있으면 자연스레 눈이 먼저 웃게 될것이다 ..